Seoul Semiconductor

Application
Technology
Product
Support
Company
IR
Career
인재상 인재상
복리후생 복리후생

보도자료
서울반도체의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서울반도체, 2023년 2분기 실적 발표

2023-08-10

서울반도체, 2023년 2분기 실적 발표


본격적인 실적 턴어라운드는 올 하반기부터 시작


글로벌 광반도체 전문 기업 서울반도체(대표이사 이정훈, 홍명기 www.seoulsemicon.co.kr)는 연결기준으로 2023년 2분기 매출 2552억 원, 영업손실 41억 원을 기록했다고 10일 밝혔다. 


전년 동기대비 매출은 13.1% 줄었고 영업 손실률은 2.9% p(포인트) 하락했으나, 전분기 대비 매출은 13.7% 상승, 영업 손실률은 4.9% p 큰 폭으로 개선됐다. 이는 지난 5월에 제시한 가이던스 범위를 충족한 수치다. 전분기 대비 매출이 개선된 이유는 TV 등 IT 제품을 중심으로 진행된 전방산업의 강도 높은 재고 조정으로 2분기에 IT 부문의 고객 수요가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효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조명 사업부문의 매출도 반등했다.


서울반도체 관계자는 “3분기 매출 가이던스는 2분기 대비 최대 13% 수준으로 상승될 전망이며,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실적개선이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긍정적 전망의 배경에는 거시경제 불확실성으로 상반기까지 축소됐던 소비여력이 2분기 들어 산업 전반의 재고 건전성 회복과 함께 점차 살아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아직까지는 실제 수요와 일치된 완전한 회복단계는 아니지만 바닥은 지난 것으로 해석된다. 


이외에도 서울반도체 관계자는 “출하 확대에 따른 실적 개선은 물론, 올 하반기를 기점으로 비용감축의 노력이 손익 개선으로 본격적인 결실을 맺을 것” 이라며 하반기 실적 개선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서울반도체는 안 좋은 업황에도 불구하고 강도 높은 고정비 축소, 인력 운영 효율화 및 원가혁신 등 지속적인 비용 감축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상기 잠정 실적은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IFRS)에 의거해 추정한 결과이며, 투자자들의 편의를 위해 제공된 것이다. 


[사진] 서울반도체 CI



###

서울반도체 회사소개

서울반도체는 세계 3위 글로벌 LED 전문기업이다. 18,000여 개의 특허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차별화된 제품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실내외 조명, 자동차, IT(핸드폰, 컴퓨터 등), 자외선 분야 등 전 영역에 적용 가능한 LED 제품을 연구개발 및 양산해 글로벌 고객에게 공급하고 있다. 세계최초 개발 및 양산한 제품들은 LED 산업의 표준이 되고 있으며, 패키지 없는 LED ‘와이캅(WICOP)’; 교류 및 고전압 LED ‘아크리치(Acrich)’; 기존 LED보다 10배 이상 밝은 ‘엔폴라(nPola)’; 최첨단 자외선 청정기술 ‘바이오레즈(Violeds)’; 전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는 ‘필라멘트 LED’ 기술; 자연광 LED ‘썬라이크(SunLike)’ 등 혁신제품은 글로벌 시장을 리드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회사 홈페이지(http://www.seoulsemicon.com/)와 SNS 채널(YouTube, LinkedIn)에서 확인 가능하다.


#유의사항

본 보도자료에 포함된 실적은 K-IFRS 연결 기준입니다. 또한 본 자료는 미래에 대한 “예측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는 과거가 아닌 미래의 사건과 관계된 것으로 회사의 향후 예상되는 경영현황 및 재무 실적을 의미하고 표현 상으로 ‘예상’, ‘전망’, ‘계획’, ‘기대’ 등과 같은 단어를 포함합니다. “예측 정보”는 그 성격상 불확실한 사건들을 언급하는데, 회사의 향후 경영현황 및 재무 실적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불확실성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됩니다.

◾ 환율, 이자율 등의 변동을 포함한 국내외 금융시장의 동향

◾ 사업의 처분, 매수 등을 포함한 회사의 전략적인 의사결정

◾ 회사가 영위하는 주요 사업 분야의 예상치 못한 급격한 여건 변화

◾ 기타 경영현황 및 재무 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국내외적 변화


contact us icon